2025년 7월부터 아이폰 사용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바로 애플페이 기반의 NFC 티머니 교통카드 서비스가 정식 도입된 것인데요. 기존에는 QR 방식으로만 아이폰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아이폰만 터치해도 지하철과 버스를 탈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1. 어떤 기종부터 지원되나요?
이번 서비스는 iOS 17.4 이상이 설치된 아이폰 XS 이상 모델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2018년 이후 출시된 대부분의 아이폰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 구형 모델이나 iOS가 낮은 기기는 지원되지 않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어떤 지역에서 쓸 수 있나요?
현재는 서울과 수도권 전역의 지하철 및 버스 노선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1~9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수도권 광역버스까지 폭넓게 지원되며, 조만간 전국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일부 지역은 아직 테스트 단계이므로, 앱 내에서 사용 가능 지역을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어떻게 설정하나요? (등록 및 충전 방법)
- 애플 월렛(Wallet) 앱을 실행한 뒤, '+ 추가'를 눌러 '교통카드' 메뉴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추가.
- 티머니 페이 앱과 연동 후, 잔액 충전 및 이용 내역 확인 가능.
-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카카오페이, 토스 등)를 통한 충전 가능.
- 자동충전 기능도 지원되어, 일정 잔액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충전 설정 가능.
4. 실물 카드 없이 NFC로 바로 탑승!
이제는 따로 앱을 열거나 QR코드를 띄울 필요 없이, 지하철 게이트나 버스 단말기에 아이폰을 터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애플페이의 NFC 기술을 활용해 티머니 잔액에서 요금이 자동 차감되며,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됩니다. 사용 전 Wallet에서 교통카드를 ‘기본’으로 설정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5. 교통비 할인도 받을 수 있을까?
기존 실물 티머니 카드와 마찬가지로, 환승 할인 및 거리 기반 요금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또한 만 13세~18세 청소년, 만 6세~12세 어린이의 경우 할인 카드로 등록 시 할인 요금 적용도 가능하며, 연령 인증은 티머니 페이 앱에서 간단히 설정 가능합니다.
6. 사용 시 유의사항
- 지문/페이스 ID 해제 필요 없음: 월렛에 등록한 교통카드는 '빠른 탑승 모드'로 설정되며, 보안 인증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 배터리 부족 시 주의: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배터리 잔량을 항상 확인해야 합니다.
- 1인 1기기 1카드 원칙: 동일한 티머니 교통카드를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7. 앞으로의 기대
티머니 측은 이번 애플페이 기반 NFC 교통카드 서비스가 2025년 하반기부터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지방 대도시로 점차 확대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추후 정기권, 할인권, 통합 마일리지 제도와도 연동될 가능성이 있어 더 스마트한 교통 이용이 기대됩니다.
8. 총정리: 애플페이 티머니 교통카드 한눈에 보기
구분 | 내용 |
---|---|
지원 기기 | iPhone XS 이상 + iOS 17.4 이상 |
사용 지역 | 서울 및 수도권 지하철, 버스 (전국 확대 예정) |
충전 방식 | 신용카드, 계좌, 간편결제 (자동충전 가능) |
할인 적용 | 청소년/어린이 할인, 환승 할인 동일하게 적용 |
탑승 방식 | Wallet 앱의 교통카드를 NFC로 단말기에 터치 |
아이폰 유저라면 이제 더 이상 실물 티머니 카드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간편함, 속도, 정확성까지 모두 갖춘 애플페이 티머니 교통카드, 오늘부터 바로 설정해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Z 폴드7 액정 보호필름 선택 가이드: AR필름 vs 강화유리 (3) | 2025.07.30 |
---|---|
이재명 대통령 디지털 굿즈 출시 어디서 받을수 있을까? (2) | 2025.07.29 |
🎁 실버 앤 블러드 최신 쿠폰 총정리 (2025년 8월 8일 기준) PC버전 다운받기 (7) | 2025.07.28 |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 시작! 신청 방법과 사용법 안내 (1) | 2025.07.22 |
민생지원금/ 민생회복지원금 총정리 - 신청자격, 신청일, 금액, 나도 받을수 있을까? (3) | 2025.07.07 |